목차
4대 보험이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을 의미합니다. 이는 정부가 관리하며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하는 보험인데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4대보험요율에 대해 쉽게 설명하고, 각 보험의 요율과 부담 비율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1. 4대 보험 요율
2025년 4대 보험의 총 요율은 20.2782%로 예상됩니다. 아직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
2025년 | 비고 | |
국민연금 | 9% | 미확정 |
건강보험 | 7.09% | 확정 |
(노인장기요양보험) | 0.9182% | 확정 |
고용보험 | 1.8% | 미확정 |
산재보험 | 1.47%(평균) | 확정 |
합계 | 20.2782% | - |
약 20%의 보험비용은 근로자나 사업주 중 한 명이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비율로 나눠서 내게 되는데요.
4대 보험 요율에서 근로자 및 수업주가 부담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보험요율 | 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|
국민연금 | 9% | 4.5% | 4.5% |
건강보험 | 7.09% | 3.545% | 3.545% |
(노인장기요양보험) | 0.9182% | 0.4591% | 0.4591% |
고용보험 | 1.8% | 0.9% | 0.9% |
산재보험 | 1.47%(평균) | 0% | 1.47% |
합계 | 20.2782% | 9.4041% | 10.8741% |
- 근로자 부담분: 9.4041%
- 사업자 부담분: 10.8741%
예를 들어 기준소득월액이 300만 원이라면 근로자가 부담하는 4대 보험료는 아래와 같이 매달 약 28만 원으로 계산됩니다.
보험요율 | 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|
국민연금 | 270,000 | 135,000 | 135,000 |
건강보험 | 212,700 | 106,350 | 106,350 |
(노인장기요양보험) | 27,546 | 13,773 | 13,773 |
고용보험 | 54,000 | 27,000 | 27,000 |
산재보험 | 44,100 | 0 | 44,100 |
합계 | 608,346 | 282,123 | 326,223 |
아래에서는 4대보험 별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1) 국민연금 요율
2025년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%로 동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정부가 24년 9월 발표한 국민연금 개혁안에서 현행 대비 4%가 오른 13%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.
하지만 이는 아직 실행되지 못했기 때문에 2025년은 현 9%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국민연금은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사업장에 가입한 근로자는 회사와 근로자가 절반인 각각 4.5%씩 부담을 하며, 지역 가입자나 임의 가입자는 9% 모두를 부담합니다.
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|
사업장 가입자 | 4.5% | 4.5% |
지역 가입자 | 9% | - |
임의 가입자 | 9% | - |
- 지역가입자: 일정한 소득이 없는 자영업자, 프리랜서, 농업인 등
- 임의가입자: 주로 18세 이상 청년층, 자영업자 등으로 국민연금 가입 요건을 충족하지 않지만 노후 대비를 위해 자발적으로 가입
우리가 내는 국민연금은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됩니다.
- 노후연금: 가입 기간에 따라 차등 지급
- 장애연금: 가입 중 장애를 입은 경우 지급
- 유족연금: 가입자 사망 시 유족에게 지급
2) 건강보험 요율
2025년 건강보험 요율은 직장가입자의 경우 7.09%로 확정되었습니다.
지역가입자의 경우 점수당 보험료는 208.4원으로 직장 가입자, 지역가입자 모두 2024년과 동일합니다.
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|
사업장 가입자 | 3.545% | 3.545% |
지역 가입자 | 점수당 보험료: 208.4원 | - |
지역가입자의 점수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.
- 지역가입자 점수: (월소득 ×건강보험요율)+(재산보험료 부과점수 ×보험료 점수당 금액)
여기서 2025년 기준 건강보험요율은 7.09%이며, 보험료 점수당 금액은 208.4원입니다.
지역가입자의 더 자세한 건강보험료 내용이 궁금하시면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우리가 내는 건강보험료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.
- 진료비 지원: 병원 진료비의 70% 지원
- 건강검진: 정기 건강검진 무료 제공
- 중증 질환 지원: 암, 심장병 등 중증 질환 치료비 지원
2-1) 장기요양보험 요율
2025년 장기요양보험 요율은 0.9182%로 결정되었습니다.
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납부하며, 2025년도 건강보험료 대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12.95%를 적용하게 됩니다.
- 장기보험요율(0.9182%): 건강보험요율(7.09%)×12.95%
장기요양보험료도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50%씩 부담합니다.
3) 고용보험 요율
2025년도의 고용보험 요율은 1.8%로 예상됩니다.
고용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.9%씩 부담하는데요.
사업주는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을 위해서 0.25~0.85% 수준을 아래와 같이 추가로 부담합니다.
근로자 규모 | 요율 |
150명 미만 기업 | 0.25% |
150명 이상 우선지원 대상기업 | 0.48% |
150 ~ 1,000명 미만 기업 | 0.65% |
1,000명 이상 기업 | 0.85% |
고용보험료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됩니다.
- 실직급여: 실직 시 일정 기간 생계비 지원
- 직업훈련 지원: 재취업을 위한 훈련비 지원
- 육아휴직 급여: 육아휴직 기간 중 소득 보전
4) 산재보험 요율
2025년 산재보험 요율은 업종별로 차등 적용되며 평균 산재보험료율은 1.47%입니다.
업종별로는 아래 표와 같이 적용됩니다.
업종 | 산재보험 요율 |
광업 | 5.76 ~ 18.56% |
제조업 | 0.66 ~ 2.46% |
전기 가스 증기 수도사업 | 0.76% |
건설업 | 3.56% |
운수 창고 통신업 | 0.86 ~ 1.86% |
임업 | 5.86% |
어업 | 2.76% |
농업 | 2.06% |
그 외 산업 | 0.66 ~ 0.96% |
금융 및 보험업 | 0.56% |
납부하는 산재보험은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됩니다.
- 치료비 지원: 업무 중 사고나 질병 치료비 전액 지원
- 휴업급여: 치료 기간 중 소득 보전
- 장애급여: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일시금 또는 연금 지급
2. 4대 보험료 계산기
위에서 설명드린 4대 보험료는 국민건강보험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통해서 간편하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
계산방법에 대해서도 쉽게 알려주기 때문에 보험료를 계산하시면 재정 계획을 세우시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3. 결론
2025년 4대 보험 요율은 24년 대비 소폭 상승할 전망입니다.
국민연금 9%, 건강보험 7.09%, 장기요양보험 0.9182%, 고용보험 1.8%, 산재보험 평균 1.47%로 설정되었는데요.
각각의 요율을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이를 바탕으로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이 여러분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했기를 바랍니다.